전남지역 소각장 건립 놓고 곳곳서 마찰

전남지역 소각장 건립 놓고 곳곳서 마찰

소각시설 설치 필요한 5개 시군에 설치 추진
곡성, 주민 반대로 무산 올해 하반기 재공모 예정
순천, 시민연대 소송에 사업 추진방식까지 검토 중

목포 신규 소각장 조감도. 전남도 제공목포 신규 소각장 조감도. 전남도 제공오는 2030년부터 생활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전남에서도 소각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일부 시군에서 입지 선정을 놓고 주민들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전라남도 일선 시군이 추진하고 있는 신규 소각장 건립 사업.

전남에는 현재 14개 시군에 47개소의 소각장이 있으며, 신규 소각장 설치가 필요한 5개 시군에서 현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목포시와 순천시, 광양시, 곡성군과 보성군 등 5곳 가운데 목포는 지난해 10월 착공에 들어가 내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보성 신규 소각장 조감도. 전남도 제공보성 신규 소각장 조감도. 전남도 제공보성도 이번달 착공에 들어가 내년 6월 준공될 계획이다.

광양은 지난해 12월 선정된 입지 후보지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가 진행되고 있다.

문제는 입지 선정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 등으로 갈등을 빚는 순천과 곡성이다.

순천은 지난해 4월 입지 결정 고시 이후 지역시민단체들이 입지 선정에 문제가 있다며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한 상황이다.

순천시도 지자체 예산으로 하는 재정 사업으로 할지 민간의 투자를 받아 하는 민자 사업으로 할 것인지 추진방식까지 검토하는 등 답보상태에 빠졌다.

순천시가 주최한 쓰레기 소각장 설명회에서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고영호 기자순천시가 주최한 쓰레기 소각장 설명회에서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고영호 기자곡성은 지난해 2월 입지 후보지를 선정했으나 주민반대로 무산됐고 지자체장도 그사이 교체돼 전면 재검토가 이뤄지고 있다.

군민들은 당초 선정된 입지 후보지인 삼기 지역이 주변 환경 오염 우려는 물론 곡성IC 주변에 위치해 곡성을 오가는 관문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반대했다.

곡성군은 올해 하반기 쯤 입지 후보지에 대해 재공모를 나설 계획이나 사업 추진이 쉽지는 않아 보인다.

곡성군 관계자는 "주민들의 수용성이 확보될 때까지 시설물이 안전하다는 점과 지역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점 등을 보다 알려 이해를 돕는 활동들을 군에서 이어갈 예정"이라며 "수용성이 어느정도 확보되면 하반기에 입지 후보지에 대한 재공모에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생활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 시행이 5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지자체들이 소각시설의 안전성과 주민편익시설 설치 등 인센티브 부여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해보인다.

전라남도도 소각장 건립에 애로사항을 겪는 일부 지역에 실무협의체 구성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광주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