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2026년 말 운행 가능?광주 도시철도 2호선 1단계가 토목공사 외 부대공사 지연 등으로 애초 광주시가 밝힌 오는 2026년 말 개통이 '반반'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광주시의회 특별전문위원실, 2호선 1단계 개통, 2026년 말 '반반'
광주시의회 특별전문위원실이 발간한 '예산 정책 리포트'에 따르면 시공사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한 결과 "광주시 도시철도 건설본부에서 제시한 공정률 89%는 '토목공사'일 뿐 그 이외에서도 건축, 전기, 통신, 신호 등의 공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1년 이상 더 늦어질 수 있어 애초 광주시의 계획인 2026년 말 개통은 '반반'이다"라고 전망했다.
특히, 2호선 1단계 공사가 끝나고 실제 개통을 위해서는 6~12개월 동안 전동차 시운전이 필요한데 문제는 시운전을 준비하는 유촌동 차량기지 공사가 공정률이 95.2%지만, 차량기지에 필요한 고압전력을 공급받는 '수전(受電)'이 설치되지 않아 지난해 8월 말부터 7개월째 공사가 중지된 상태다.
이에 따라 광주시의회 특별전문위원실은 "토목공사 공정률만으로 '2026년 말 개통'을 강조해서는 안 된다"라며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트리기보다는 시민의 기대치를 낮춰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2호선 2단계 개통, 7·10공구 난공사로 2031년 이후에나 가능 전망
2단계 구간 대부분은 이제 막 공사를 시작했는데 2단계(7~14공구) 중에서 7공구(북구청~오치육교)와 10공구(OB맥주~양산지구 사거리)는 아직 첫 삽을 뜨지 못했다.
도면과 구조계산서, 시방서, 내역서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에서 발주처가 제공하는 물량에 맞춰 공사를 진행하라는 결정이 내려와 공사가 늦어지고 있다.
7·10공구는 난공사가 예상되어 지난해 입찰이 5차례나 무산되었고, 현재 설계변경과 함께 국토교통부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