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을 기념하는 전야제가 17일 광주 금남로 일대에서 개최됐다. 김한영 기자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하루 앞두고, 광주 동구 금남공원 일대에서 5·18민중항쟁 전야제가 '오월 민주주의 대축제'로 열렸다.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17일 오후 5시부터 밤 9시까지 광주 금남로 일대에서 전야제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총 3부로 나뉘어 오월정신을 기리고, 세대를 아우르는 문화 공연과 발언, 퍼포먼스로 구성됐으며 시민과 출연진 등 1천여 명이 함께했다.
특히 올해 전야제는 12·3 내란을 막아낸 광주의 오월 정신을 기리는 의미로 꾸며졌으며, 수만여 명의 시민이 금남로 일대에 모였다. 또, 강기정 광주시장과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해 김영록 전남도지사,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등이 참석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도 참석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45년 전 광주가 있었기에, 광주의 희생과 단호한 투쟁이 있었기에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지켜졌다. 12·3 불법 계엄의 국민 승리가 바로 오월광주의 승리다"라면서 며 "국민의 바람이고 시대의 사명인 5·18정신 헌법전문수록을 통해 대한민국을 지켜온 힘이 국민에게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새기겠다"라고 밝혔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를 찾아주고 금남로를 가득 메워준 전국, 전세계의 민주주의자들을 환영한다"라며 "금남로는 전두환 계엄군과 싸웠던 곳이고, 우리는 이곳에서 얻은 힘으로 12·3 계엄을 막는 힘을 얻었다"라고 말했다. 강 시장은 이어 "80년 5월 광주는 무척 무서웠고 외롭고 두려웠지만,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자들이 오월을 불러주고, 전세계 평화애호민이 광주를 찾아준 덕분에 5·18은 민주주의의 꽃이 됐고 광주는 민주 인권의 도시로 활짝 꽃피울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1부 '오월광주 환영대회'
이번 행사는 이날 오후 5시 '오월풍물단'의 길놀이 공연으로 막을 열었다. 이어 민주평화대행진단이 금남로를 따라 입장했고, 전 구역에서 '전체 묵상'이 진행됐다.
행사 안전수칙 영상 상영 후 오월음악단의 공연이 이어졌으며, 광주출정가·오월의 노래·기다리는 사람들 등 주제곡을 중심으로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오월길맞이굿', '오월영령 인터뷰극' 등의 연극적 퍼포먼스도 펼쳐졌으며, 200명의 청년 무용수들이 금남로 사거리 전체를 무대로 삼아 대규모 댄스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금호고 빛콰이어 합창단, 몸짓플러스의 '나비연 춤극', 어머니합창단(25명)의 무대도 관객의 박수를 받았다.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을 기념하는 전야제가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막을 올렸다. 김한영 기자2부 '민주주의 축제'
본행사는 '다시 만난 오월' 영상으로 시작됐다. MC 진행에 이어 강기정 광주시장의 오월광주 환영인사가 진행됐다.
뒤이어 우원식 국회의장이 무대에 올라 "5·18 항쟁은 민주주의의 연원"이라며 기념 발언을 전했다.
이어 뮤지컬 형식의 단막 공연 '두 계엄령', '우리는 보았어요', '45년의 대화', '봄의 겨울, 겨울의 봄'이 차례로 무대에 올랐다. 김선희 열사 유가족, 청소년 대표 김나림 양, 오병윤 상임행사위원장의 발언이 이어졌고, '오월민주선언' 낭독과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으로 분위기가 절정에 이르렀다.
광주 출신 작곡가 김형석 씨도 이날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과 진압군 모두가 불렀던 '늙은 군인의 노래'를 연주했다. 시민들은 그의 연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며 눈시울을 붉혔다.
가수 이은미씨는 김형석 작곡가와 함께 무대에 올라 '서른 즈음에', '가슴이 뛴다', '애인 있어요' 등을 열창하며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노래로 전달했다.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을 기념하는 전야제가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막을 올렸다. 김한영 기자3부 '빛의 콘서트 '대동한마당'
공연팀 '스카웨이커스'가 '우리가 왔다', 'Music is our weapon' 등 강렬한 무대로 무대를 달궜고, '노래를 찾는 사람들'과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밴드도 무대에 올랐다. 백금렬과 촛불밴드는 '오월의 노래', '죽창가', '광야에서', '그날이 오면' 등으로 시민들과 호흡을 맞췄다.
댄스팀은 군중과 함께 '다시 만난 세계'에 맞춰 춤을 추며 무대를 가득 메웠고, 오월어머니집 합창단은 오월의 아픔과 희망을 함께 노래했다.
마지막 공연으로는 '버터플라이', '바위처럼', '아름다운 강산', '아모르파티' 등이 연주되며 모두가 하나 되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전야제 이후 참가자들은 옛 전남도청으로 행진해 5·18 민주광장에서 대동한마당을 펼치며 행사의 대미를 장식했다. 이들은 5·18의 의미를 되새기고 오늘날 민주주의 승리를 기념했다.
전야제에 앞서 이날 오전 11시부터 금남로 및 중앙로 일대에서는 80년 시민자치의 나눔 공동체 대동 세상을 구현하는 '시민 난장'이 열렸다. 주먹밥 나눔 행사에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시민이 참여해 오월 정신의 연대와 나눔을 체험했다. 특히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거리공연, 기획전시, 포토존 등은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인기를 끌었다.
전일빌딩245에서는 오월연극제, 5·18 민주광장에서는 4·16합창단 등 전국 민주시민 합창단들의 민주주의 대합창 공연, 미션투어 프로그램 등을 통해 5·18에 대한 역사를 시민이 쉽게 알아갈 수 있는 행사도 마련됐다.
전야제에 참가한 김모(58·여)씨는 "과거의 5·18 전야제와 달리, 올해 전야제는 그 자체가 축제였고 어느 해보다 오월 정신을 잘 보여준 것 같다"며 "거리로 나온 것이 헛되지 않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낸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주간에는 18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리는 정부 기념식을 비롯해 다양한 추모·기념행사가 광주 전역에서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