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조 광주전남지부 소속 노조원들이 광주 시장실 앞에서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다(사진=박요진 기자)
건설노조 소속 조합원 5000여 명이 외국인 불법 고용 근절과 지역민 고용을 요구하며 벌인 광주시청 로비 점거 농성을 마무리했다.
앞서 전국 건설노조 광주전남지부 노조원 700여 명은 11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청 로비 1차 점거 농성을 벌였다.
이후 민주노총 건설노조는 광주 서구 광주시청 앞에서 주최 측 추산 5000여 명이 모인 결의대회를 진행한 뒤 2차 점거 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결의대회에서 전국에서 모인 단체 대표자 등의 연대 발언을 통해 외국인을 불법 고용한 건설업체 등을 규탄했다.
특히 사측이 의도적으로 한국노총 노동자들을 건설 현장에 끌어들였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건설노조 소속 노조원들이 광주 서구 광주시청 청사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사진=박요진 기자)
비슷한 시각 건설노조 광주지부 소속 노조원들은 광주시청 3층 시장실 앞 복도를 점거 농성을 벌였다.
광주시는 "시청 청사는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경찰에 청사 보호를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점거 농성과 결의대회 등에서 노조는 "외국인 불법고용으로 촉발된 타워크레인 고공농성과 관련해 광주시 등 관계기관에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수차례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며 "건설노동자 역시 광주시민으로 우리가 기대고 의지할 곳은 광주시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사측 대표가 참석한 교섭에서 합의가 이뤄졌지만 이행되지 않고 있다"며 "합의된 내용이 이행될 수 있도록 광주시가 직접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건설노조 소속 조합원들이 광주시청 청사 로비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다(사진=박요진 기자)
노조는 불법 체류 외국인 노동자 고용 근절과 지역민 우선 고용, 임금 및 단체협약 타결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지난 9월 19일부터 광주 북구 임동 한 건설현장의 타워크레인을 점거해 23일째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다.
전국 건설노조 광주전남지부 관계자는 "건설사 측에서 면담을 요청해와 다음 주에 합의 내용에 대해 재논의하기로 했다"며 "이번에는 발전적인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