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광주 시민사회단체가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학동 4구역 재개발사업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철저한 수사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김한영 기자
광주 시민사회단체가 광주 건물 붕괴 사고와 관련해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선 경찰이 철저히 수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주지역 시민단체와 노동계, 정당 등으로 구성된 가칭 안전한 광주 만들기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30일 오전 광주 학동 4구역 재개발사업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 건물붕괴 사고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선 경찰이 성역없는 철저한 수사를 통해 진실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시민모임은 "17명의 사상자를 발생시킨 이번 참사는 비리의 종합세트로 인한 결과다"며 "광주건물붕괴 사고는 불법 다단계 하도급 구조하에서 허위 해체계획서, 이면계약, 현장 관리감독 부재, 인허가 비리 등이 제기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불법 하도급에 대한 상시적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광주시와 각 구청은 재개발 지역의 전수조사를 통해 시민의 안전권과 생명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연대 발언에 나선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박재만 상임대표는 "언제부턴가 광주가 안전도시가 되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광주건물붕괴 사고는 세월호 참사 등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민단체 대표로서 이번 참사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산업재해와 시민재해 없는 안전한 광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우선 오는 7월 8일 예정된 경찰의 광주건물붕괴 1차 조사 결과를 지켜본 뒤 앞으로 어떻게 활동을 이어나갈지 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30일 광주시민사회단체가 학동 4구역 재개발사업 현장 앞에 설치된 펜스에 국화꽃을 헌화하며 피해자들을 추모했다. 김한영 기자
한편 이날 시민모임은 기자회견이 끝난 뒤 학동 4구역 재개발사업 철거건물 붕괴참사 현장에 설치된 펜스에 국화꽃을 헌화하며 피해자들을 추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