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플 균근. 전라남도 제공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소장 오득실)가 국내 최초로 트러플(서양송로버섯) 인공재배 연구에 착수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트러플은 땅속의 다이아몬드라 불릴 만큼 귀하고 특이한 향미를 가진 고급버섯으로, 캐비어, 프아그라와 함께 세계 3대 진미 중 하나로 꼽힌다.
전남도 산림자원연구소는 농식품부 연구개발 공모에 선정돼 지난해부터 5년간 10억 원을 지원받아 국내 균근성버섯 연구 분야 권위자인 한국교원대학교 엄안흠 교수팀, 한국농수산대 서건식 교수팀,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김경제 박사팀과 함께 연구에 착수했다.
현재까지 전남지역 포함 국내 20여 곳에서 트러플이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했고 그 부근의 기주식물 뿌리를 DNA 분석 등을 통해 정밀진단한 결과 외생균근 형태로 5종의 트러플균이 서식하고 있다는 것도 밝혀냈다.
또 자생지역을 대상으로 트러플 발생 시기인 8~11월 자실체 발생 유무를 확인한 결과 세계 신종(가칭 Tuber koreanum.) 1종을 포함해 총 3종의 트러플 자실체를 찾아내 이 트러플의 형태적 특성 및 발생 양상에 대해 한국균학회지 등 국내 학술지에 논문 3편을 게재하고, 포스터논문 5편을 발표했다.
전남도 산림자원연구소는 발견한 트러플 자실체를 활용해 자생수종인 상수리 등 참나무류의 접종묘 생산에 성공해 현재 지속해서 순화재배 관리 중이며 실증재배시험을 할 예정이다.
트러플은 송이버섯과 유사하게 살아있는 나무뿌리와 공생하는 균근성 버섯으로,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에 분포해 있고 뉴질랜드, 호주, 미국에서도 인공재배가 이뤄지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중국 운남성 일대가 주요 생산지이다.
트러플 생산량은 약 1천100만 톤이며, 중국이 780만 톤으로 약 70%, 유럽지역은 200만 톤으로 약 18%를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