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청 전경. 전라남도 제공전라남도가 남해안을 해양레저관광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항만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비 확보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관광레저 사업 위축 우려에 난항이 예상된다.
천혜의 섬과 해안, 갯벌 등 풍부한 관광 자원을 보유한 남해안.
전라남도는 남해안 해양레저관광벨트 구축을 위해 지역 별 사업 등을 발굴하고 있다.
앞서 해양수산부는 남해안의 관광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지난 4월부터 KMI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을 통해 남해안권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방안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전라남도는 최근까지 3차례에 걸쳐 해양수산부에 남해안 해양레저관관광벨트와 관련해 총사업비 1조 9천억원 규모의 23개 사업을 건의했다.
전남도는 우선 크루즈관광기반과 섬 갯벌 체계적인 관리, 마리항만 조성, 명품 낚시공원 조성, 여수세계박람회장 공공개발,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 해양관광 활성화SOC 기반 조성 등 7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과 낚시복합타운, 휴양빌리지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11월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용역 결과가 나오는대로 비전 발표 등을 할 예정이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여파에 따른 관광 산업 위축은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전남도는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위해 낚시공원과 바닷속에 지정한 공원인 해중공원 등 다양한 해양 체험시설 조성을 고려하고 있는 만큼 원전 오염수 방류가 개발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신규 사업의 경우 정부의 긴축 재정 기조 속에 국비 확보에도 난항이 우려된다.
전라남도 관계자는 "국비 확보와 함께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남해안 글로벌 해양관광벨트 구축을 위해 전남도가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