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노동자 출신 광산구청장의 새로운 일자리 실험

[기자수첩]노동자 출신 광산구청장의 새로운 일자리 실험

지속가능 일자리 대화마당에 모인 광산구민들이 박병규 광산구청장의 발표를 듣고 있다. 광산구청 제공지속가능 일자리 대화마당에 모인 광산구민들이 박병규 광산구청장의 발표를 듣고 있다. 광산구청 제공기아자동차 광주공장 노조지회장 출신으로 10여 년 전 '광주형 일자리'를 제안했던 박병규 광산구청장이 이번에는 '지속가능 일자리특구'라는 새로운 실험에 나섰다.

기존의 대기업 유치 중심 일자리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를 통해 현재의 일자리를 더 좋고 지속 가능한 형태로 개혁하겠다는 구상이다.

박 청장은 광산구의 21개 동을 직접 돌며 주민들과 '지속 가능한 일자리'에 대한 의견을 나눴고, 이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일자리' 개념 정립 작업을 진행했다.

청년·여성·고령자·농민·이주민 등 107명의 주민이 1436건의 질문을 쏟아냈으며, 광산구는 이런 질문들을 모아서 묶은 보고서인 '녹서'로 정리해 정책의 밑그림을 완성했다.

광산구는 '녹서'를 기반으로 주민과 전문가의 답변을 모아 오는 9월 말 '백서'를 발간하고, 이후 구체적 실행계획인 '청서'를 공개해 2026년부터 시범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한편 광산구 안팎에서는 "작은 지역의 질문이 전국 정책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기존 공공·사회적 일자리와 차별점이 부족할 경우 정치적 수사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광주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